코인 정보

코인판, 코인 커뮤니티 용어 정리 - 심화편

moneygame 2021. 7. 11. 22:04
반응형

--- 코인 커뮤니티 언어 ---

가즈아

: 자신이 산 코인의 가격이 올라가길 바라는 마음에 쓰는 단어.

너무 남발하면 부정 탄다고 금기어가 되기도 함.

 

가즈아의 유래

: 옛날 일부 토토 사이트에서 토쟁이들이 사용하던 암흑 주술과도 같은 주문이었으나,

이것이 비트코인 갤러리로 유입되어, 수많은 짤들과 함께 유행을 탄 2017년 하반기의 대유행어.

만들어진 곳은 토토 사이트이고, 대유행을 시킨 곳은 비트코인 갤러리.

 

투더문(to the moon)

: 2017년에 가즈아가 대유행이었다면, 2021년에는 투더문(to the moon)’이다.

달까지 가자는 말로 상승을 기원하는 말. 일론 머스크도 트위터에 투더문을 올린다.

 

돔황챠

: 도망쳐라는 뜻으로 가즈아, 투더문의 반대말. 대폭락의 징조가 보이거나 폭락 중일 때 쓰임.

 

대곰탕

: 대공황이라는 뜻으로 대폭락 중일 때 쓰임.

 

머선일이고 (머선129): 무슨 일이고?

가격이 떡상, 떡락할 때 주로 쓰입니다.  Ex) ○○코인 머선일이고?

 

물렸다: 해당 코인의 고점에 매수를 했고, 지금은 가격이 떨어져 마이너스인 상태.

Ex) ○○코인 ○○○원에 물렸다.

 

물타기: 본인이 산 가격보다 코인의 가격이 낮아질 때 추가 매수를 하여 평단을 낮추는 것.

불타기: 물타기의 반대말로 가격이 올라가는 와중에 추가로 더 매수하는 것.

 

존버: 존나게 버틴다의 줄임말로서, 존버도 실력이다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굉장히 고단한 일.

강제 존버: 고점에 물렸는데 손절 타이밍을 놓쳐서,

지금 매도하면 손절 금액이 너무 커 팔지도 못하는 상태일 때, 강제로 존버한다고 합니다.

 

흑우, 흑두르미, 흑두루치기, 말랑카우: 호구를 뜻하는 말로 고점에 물린 사람들을 뜻합니다.

 

코린이: 코인 어린이의 줄임말로, 코인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 투자자들을 뜻합니다.

김치: 한국인, 한국 코인

버거형, 버거형님: 미국인 코인 투자자

버거형들 일어나는 시간: 한국 밤 9~11시로, 미국 시간으로 아침 7~9시를 뜻합니다.

 

시체

: 코인의 고점에 물려 장렬하게 전사하신 분들.

시체들은 본전 또는 그 이상의 고점에 매도를 걸어두고 있기 때문에

시체들 때문에 가격이 안 오른다, ○○○ 가격대에 시체가 많다, 시체 치우기 힘드네요.”

등으로 표현한다.

 

구조대: 고점에 물렸을 때, 자신이 산 가격으로 다시 올라오는 것.

Ex) 층 구조대 제발 와라.

 

펜트하우스: 가장 높은 가격대.

Ex) 고점에 매수해 물린 사람들을 보고 펜트하우스에 입성했다고 한다.

 

메이저 거래소: 업비트, 빗썸 등 사용자수, 거래량이 많은 안전한 거래소.

잡거래소: 메이저 거래소를 제외한 나머지 거래소.

 

가두리

: 거래소에서 점검을 이유로 타 거래소와의 입, 출금이 불가능해진 상태에서

코인의 가격이 비상적으로 상승하는 것, 또는 하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 

행복회로: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, 행복한 상상만으로 가득찬 상태.

 

: 장대 양봉, 장대 음봉을 뜻함.

폰지빔: 폰지사기(다단계 사기)와 빔을 합성한 단어로 장대 음봉(급락)을 뜻함.

 

설거지: 저점에서 물량 확보를 한 세력들이 가격을 올려 고점에서 개미들에게 물량을 넘기는 것.

 

경주마: 오전 9시에 가격이 급상승하는 급등주를 뜻합니다.

 

: 매수한 가격대.

Ex) 리플 1,200 >> 리플 1,200

 

개미 털기: 세력들이 가격을 일부러 떨어뜨려서, 개미들이 공포에 코인을 팔게 만드는 .

 

엽전: 10원 미만의 1원단위 코인들

동전: 10원 이상~1000원 미만의 코인들

지폐: 1000원 이상의 코인들

 

커플링: A 코인이 오르면 B 코인도 같이 오를 때, A, B를 커플링이라고 합니다.

디커플링: A 코인이 오르면 B 코인의 가격이 떨어질 때, A, B를 디커플링이라고 합니다.

 

운전수: 해당 코인의 가격을 움직이며 장을 이끄는 세력

승차감: 본인이 매수한 코인이 안정적으로 우상향하고 있을 때의 안정감

Ex) 승차감 좋네요

안전벨트: 가격이 급상승 또는 급락할 때 흔들리지 말고 버티라는 뜻.

 

뇌피셜: 자신의 뇌로 상상한 소설을 써서 호재, 악재를 퍼트리는 행위.

오피셜: 뇌피셜의 반대말로 공식적인 발표나 뉴스 등의 사실.

 

호재: 좋은 소식

악재: 나쁜 소식

 

무빙: 해당 코인의 가격 움직임을 뜻합니다.

Ex) 하루 가격 등락 폭이 심할 때. “오늘 무빙 뭐냐?, 오늘 무빙 토 나온다 등

 

빤스런: 코인을 매수했으나, 더 오르지 못하고 떨어질 것 같아 무서워서 팔고 튄 것을 뜻합니다.

이 과정에서 소액의 수익 또는 소액의 손실이 납니다.

 

시드: 가지고 있는 돈.

 

야수의 심장

: 사람의 심장이 아닌 야수의 심장을 가진 것 같은 사람을 표현하는 말로,

하락장의 공포에 오히려 추가매수를 하는 사람들 또는

한 종목에 큰 시드머니를 몰빵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.

 

사나이테스트

: 담력 테스트를 뜻하는 말로, 하락장의 공포에 팔지 않고 건강한 조정이라며 버티는 행위를 말합니다.

 

수면매매

: 매수해놓고 수면을 취하는 것 또는 수면을 취하기 전 지정 가격에 매수를 걸어놓는 것.

 

기도매매: 사놓고 가격이 오르길 기도하는 매매법

 

돈복사: 코인의 가격이 올라서 자산이 늘어나는 것을 뜻함.

 

곡소리: 코인 가격이 폭락해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내는 목소리.

Ex) 곡소리 나기 시작하면 매수 타이밍이다, 곡소리 안 나오는 거 보니 아직 버틸만 한가보네

 

선동충

: 알바인지, 저점 매수를 위한 것인지,

고점에 물려서 코인 가격을 올려 본인이 탈출하기 위한 것인지는 몰라도

지난 호재, 악재 등을 가져와서 ○○ 코인 사라, 팔아라 하며 선동하는 코린이들의 주적입니다.

 

떡락충, 떡락무새

: 코인 가격이 오를 때는 보이지 않으나,

코인의 가격이 조금만 떨어지면 떡락, 돔황챠, 대하락장이다 등을 외치며 나타나는 사람들입니다.

 

천하제일 단타대회

: 코인의 값이 급격하게 떡상 또는 떡락 할 때

한국인들의 용맹한 투기 정신으로 그 위험한 와중에 단타를 치는 대회가 열리는 것을 뜻합니다.

 

원화 채굴

: 코인으로 돈을 버는 것이 아닌, 현실에서 노동을 하여 돈을 버는 것을 뜻합니다.

주로 돈을 많이 잃은 사람들, 물려서 강제 존버를 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.

 

메로나: 차트에서 큰 상승 봉을 뜻합니다.

큰 상승을 나타내는 긴 녹색 봉이 아이스크림 메로나 같다고 해서 생겨난 말.

 

스크류바: 차트에서 큰 하락 봉을 뜻합니다.

큰 하락을 나타내는 긴 빨간 봉이 아이스크림 스크류바 같다고 해서 생겨난 말.

 

숏충이, 숏무새: 가격 하락만을 예측하고 숏만 치는 사람.

 

롱충이, 롱무새, 롱스톤: 가격 상승만을 예측하고 롱만 치는 사람.

 

했제충, 그랬제충, 없제충

: “내가 ○○코인 사라 했제?, 그랬제?, 반등한다 했제?, 그랬제?, 가격 오른다했제? 그랬제?,

아직 ○○코인 안 탄 사람 없제?, 아직 ○○코인 안 판 사람 없제? 등의

했제, 그랬제, 없제 등 수익을 못 보고 있는 사람, 손실을 보고 있는 사람 등을 조롱하는 사람들.

 

껄무새, 껄충

: 팔껄, 살껄, 말껄, 할껄, 넣을껄, 뺄껄 등

좋은 타이밍에 매수, 매도를 못 해 후회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.

 

머리 뜨끈하다, 어질어질하다: 고점에 물려서 머리에서 열난다, 두통 난다, 어지럽다 등

 

반응형

 

---- 코인 별명 ----

 

머장님, 대장님: 코인 중 시총이 가장 높은 비트코인(BTC)을 뜻합니다.

(머장님은 대장님의 급식체)

 

은진이: 엔진코인(ENJ)을 칭하는 단어입니다.

 

치킨: BCH(비트코인 캐시) BHC와 비슷하여 치킨이라고 합니다.

 

아다, 카르다노, 에이다: 에이다(ADA) 코인을 칭하는 단어입니다.

 

리또속, 리도석 장군

: 리플(XRP)은 과학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,

가격이 오를 것 같다가도 제자리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며

리플에 또 속았다는 것을 뜻합니다.

 

퀀또속, 똥텀

: 가격이 오르는 건 한참이 걸리지만, 떨어지는 건 순식간이라,

리또속과 같이 퀀텀(QTUM)에 또 속았다는 것을 뜻합니다.

 

꼴까닥

: 폴카닷(DOT)의 가격이 하락해, 꼴까닥 간다고 하여 폴카닷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뜻합니다.

 

이클: 이더리움 클래식(ETC)

라코: 라이트코인(LTC)

체링: 체인링크(LINK)

비캐: 비트코인 캐시(BCH)

비골: 비트코인골드(BTG)

샌박: 샌드박스(SAND)

칠리소스: 칠리즈(CHZ)

디센, 마나: 디센트럴랜드(MANA)

쎄타: 쎄타토큰(THETA)

쎄퓨: 쎄타퓨엘(TFUEL)

룸네: 룸네트워크(LOOM)

슨트, 스테이크: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(SNT)

 

뽀삐: 이오스(EOS)를 지칭합니다.

이쁘다 이쁘다 해야 가격이 올라간다는 이오스 홀더들의 대화에서 유래됨.

 

 

수정해야 할 것이나, 추가해야 할 용어가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 

 

반응형